17 1 0 0 0 0 9일전 1

진달래는 알고 있다. 봄보다 먼저 피는 한국인의 마음

그리움, 저항, 위로까지… 꽃이 들려주는 우리 이야기

『진달래는 알고 있다』는 한 송이의 꽃을 통해 한국인의 마음과 시대의 기억을 조용히 들여다보는 책입니다. 우리가 봄의 전령처럼 여겨온 진달래는 실은 삶의 고비마다 사람들 곁에 조용히 머물러 온 꽃이었습니다. 이 책은 그 작은 꽃 한 송이 속에 스며든 그리움과 위로, 저항과 희망의 이야기를 감성적으로 풀어갑니다. 진달래는 잎보다 꽃이 먼저 피는 꽃입니다. 찬 바람이 아직 가시지 않은 봄 산자락에서 가장 먼저 피어나는 이 꽃은 화려하진 않지만 오래도록 마음에 남습니다. 김소월의 시 「진달래꽃」 속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오리다”라는 구절처럼, 진달래는 말하지 않아도 전해지는 감정의 상징이었습니다. 이별과 체념, 그러나 그 안에 담긴 조용한 사랑과 깊은 정서가 진달래 한 송이 속에 담겨 있었습니다. 이..
『진달래는 알고 있다』는 한 송이의 꽃을 통해 한국인의 마음과 시대의 기억을 조용히 들여다보는 책입니다. 우리가 봄의 전령처럼 여겨온 진달래는 실은 삶의 고비마다 사람들 곁에 조용히 머물러 온 꽃이었습니다. 이 책은 그 작은 꽃 한 송이 속에 스며든 그리움과 위로, 저항과 희망의 이야기를 감성적으로 풀어갑니다.

진달래는 잎보다 꽃이 먼저 피는 꽃입니다. 찬 바람이 아직 가시지 않은 봄 산자락에서 가장 먼저 피어나는 이 꽃은 화려하진 않지만 오래도록 마음에 남습니다. 김소월의 시 「진달래꽃」 속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오리다”라는 구절처럼, 진달래는 말하지 않아도 전해지는 감정의 상징이었습니다. 이별과 체념, 그러나 그 안에 담긴 조용한 사랑과 깊은 정서가 진달래 한 송이 속에 담겨 있었습니다.

이 책은 그 시적인 감성을 기반으로, 진달래가 어떻게 한국인의 삶과 역사 속에서 하나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는지를 들려줍니다. 4·19의 거리, 5·18의 언덕, 1987년의 광장, 그리고 촛불이 타올랐던 겨울밤까지, 진달래는 누군가의 손에 들려 있었습니다. 폭력에 맞선 평화의 상징이자, 침묵으로 저항하는 꽃이었습니다. 누군가는 총을 들었지만, 누군가는 꽃을 들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진달래를 통해 자신들의 믿음과 염원을 표현했습니다.

진달래는 단순한 식물이 아닙니다. 말없이 피어나 눈물의 자리에 머무르고, 기억의 골짜기를 따라 조용히 걸어가며, 다시 피어날 봄을 기다리는 기도의 언어입니다. 이 책은 진달래를 따라 한국인의 감정과 시대의 울림을 따라가며, 잊고 있던 우리의 이야기와 마주하게 합니다.

문학, 역사, 민속, 생태, 그리고 감정의 언어까지 이 책이 품은 세계는 넓고도 따뜻합니다. 어린 날 소풍길에 보았던 진달래, 어머니가 부쳐주시던 진달래 화전, 책갈피 속에 말려 있던 꽃잎 한 장. 이 모든 것이 하나로 연결되어, 한 송이 진달래꽃 속에서 당신의 기억과 만나게 됩니다.

『진달래는 알고 있다』는 단지 꽃을 이야기하는 책이 아닙니다. 그것은 삶의 고비에서 꺾이지 않고 피어난 사람들, 말없이 사랑하고 조용히 저항해온 이들의 이야기입니다. 그들이 지나온 자리마다 진달래는 피었고, 그 꽃은 여전히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말을 걸어옵니다.

진달래는 알고 있습니다. 묵묵히 견딘 사람들의 강인함을, 되새겨야 할 이름들의 무게를, 그리고 봄보다 먼저 피어난 마음의 진실을. 이 책은 그 진달래가 들려주는 조용한 이야기이며, 그리운 사람들과 시대를 향한 가장 따뜻한 헌사입니다.
저자 소개|와우 최민수

최민수는 교육자이자 작가입니다. 그는 삶의 고비마다 사람을 다시 일으키는 힘은 ‘배움’에 있다고 믿습니다. 지식을 전달하는 데 그치지 않고, 마음을 어루만지고 삶을 회복시키는 배움의 온기를 전하기 위해 오랜 시간 평생학습과 문해교육 현장을 누벼왔습니다.

강의실이든 동네 골목이든, 배움이 필요한 곳이라면 어디든 달려갔습니다. 디지털이 낯선 어르신에겐 스마트폰 사용법을, 전환기에 선 중장년에게는 생애설계와 자기 돌봄을, 지친 이들에게는 인문 치유와 심리상담을 건네며 삶 가까이에서 교육의 손을 내밀었습니다. 그는 언제나 말보다 실천을 앞세우며, ‘배움이 곧 삶의 일부’가 되기를 바랐습니다.

그의 수업은 늘 실용을 넘어 ‘사람’을 중심에 두었습니다. 글쓰기, 철학, 예술, 상담, 디지털 리터러시, 생애주기별 진로 설계까지 강의 주제는 다양했지만, 중심엔 언제나 사람과 삶이 있었습니다. 세대와 환경, 조건을 넘어서 누구나 존중받으며 배울 수 있도록 돕는 일, 그것이 그의 변함없는 교육 철학이었습니다.

이번 책 『진달래는 알고 있다 – 봄보다 먼저 피는 한국인의 마음』은 그가 오래도록 품어온 한국인의 정서와 시대의 기억, 그리고 마음의 풍경을 한 송이 진달래꽃에 담아낸 인문 에세이입니다. 김소월의 시 「진달래꽃」처럼, 이 책 속의 진달래도 말없이 피어나 이별을 감싸고, 슬픔을 안으며, 조용히 위로를 건넵니다. 누군가의 저항이었고, 어떤 이의 그리움이었으며, 모두의 마음에 머물던 기억이기도 했습니다. 이 책은 진달래를 따라 한국인의 감정과 시대의 숨결을 천천히 펼쳐 보여줍니다.

진달래는 단순한 봄꽃이 아닙니다. 겨울을 견뎌내고 피어나는 꽃, 침묵 속에서 삶을 품은 꽃, 상처와 함께 피는 위로의 상징입니다. 그 꽃의 언어로 써 내려간 이 책은 한 시대를 지나온 이들에게는 깊은 공감을, 또 다른 봄을 기다리는 이들에게는 다정한 희망을 전하고자 합니다. 진달래처럼 조용히 그러나 깊게 마음에 스며드는 이야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최민수는 스마트 IT 강사 1급, AI 전문가 1급을 포함해 총 41개의 자격을 보유한 융합형 교육자입니다. 디지털 교육, 심리상담, 인문치유 콘텐츠를 기획·운영하며 교육의 경계를 삶의 중심으로 확장해왔습니다. 대한민국 미래경영대상과 녹조근정훈장을 수상하며, 그의 실천은 사회적으로도 깊이 인정받고 있습니다.

그는 믿습니다. 작은 배움이 하루를 바꾸고, 하루가 모여 인생을 바꾼다고. 『진달래는 알고 있다』는 그 믿음 위에서 피어난 한 권의 꽃이며, 지금 이 글을 읽는 독자에게도 다정하게 피어나기를 바라는 따뜻한 초대입니다.

◆ 이메일: su59604@daum.net
◆ 블로그: sonofgod2221@naver.com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